결로 현상 무엇일까요? 겨울철만 되면 벽면 곰팡이 때문에 고민이신가요. 결로 현상 원인을 알면 예방 및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결로 현상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로 현상이란
결로 현상이란 바깥 온도와 실내 온도 차이로 인하여 건물 벽면이나 창문에 물방울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겨울철에 결로 현상이 주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집 안 벽면에 곰팡이가 생기거나 벽체가 손상이 되는 등 피해가 발생합니다.
2. 결로 현상 원인
1) 집안의 습도가 높은 경우
겨울철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면 춥기 때문에 집안 환기를 꺼리게 됩니다. 베란다의 밀폐된 공간이나 가습기의 과다 사용이 습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2) 부적절한 건축 시공
건물들이 밀집되어 있는 주택가나 북쪽 방향으로 배치된 건물의 일사량 부족과 통풍의 문제로 결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단열공사 부실
단열 자재를 꽉 차게 채우지 않았거나 틈이 벌어진 경우, 부분 결로나 내부 결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결로로 인한 피해
1) 곰팡이 발생, 벽체 손상
벽면이 습해지면서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오랜 기간 지속되면 곰팡이가 젖어 벽체가 부식되어 손상될 수 있습니다.
2) 호흡기 및 피부질환 발생
곰팡이가 생길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어 호흡기 및 피부 질환이 발생하는 등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열효율 저하
벽체가 습해지면서 단열재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어 단열 효과가 저하됩니다.
결로 예방 및 해결방법
1) 환기는 수시로
온도와 습도 조절만 잘해도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날씨가 춥더라도 짧지만 수시로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 방법입니다. 여름철에는 선풍기나 에어컨으로 온도를 조절해 주며, 제습기를 이용하여 습도 조절을 해줍니다.
- 적정 온도는 20도 내외
- 습도는 40~60% 유지
- 빨래나 요리할 때 창문 열고 환기
2) 실내 가구 배치
벽과 가전(가구) 사이가 너무 밀착되어 있으면 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약 5cm 이상 틈을 주도록 하며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해 창가 근처에는 되도록 물건을 두지 않도록 합니다.
3) 단열 벽재 시공
뽁뽁이와 같은 에어캡이나 단열자재를 이용하여 창문에 붙여주면 벽면을 따뜻하게 해주어 저렴한 비용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로 현상이 심한 경우 전문가와 상의 후, 조치를 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결로방지에 도움이 되는 벽지 : PP 보드, 우레탄폼, 아이소핑크
- 단열 벽재 + 단열벽지로 도배 시, 효과적
- 목조주택 : 글래스울 사용 (불연소 소재)
4) 결로 부위 건조해 주기
결로 현상이지만 단열 자재를 추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온열기나, 제습기 등을 통해서 벽지가 머금고 있는 습기를 강제로 빼주도록 해야 합니다. 곰팡이가 생겼다면 곰팡이 제거제로 깨끗하게 제거한 후 건조해 주어야 곰팡이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결로 현상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관련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