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인 미국 암 연구학회에서 국내 제약사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동안 연구 및 개발 진행 중인 현황 및 성과에 대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하니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제약사별 기대를 모으고 있는 K 항암제는 무엇인지 아래 내용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암 연구학회(AACR) 2024
미국 암 연구학회(AACR)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유럽 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 중의 하나로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연구 및 개발 진행 중인 성과를 공개하는 자리입니다. AACR에서는 암 트렌드를 미리 접해볼 수 있는 자리로 전임상과 초기 임상 연구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2024년 개최되는 미국 암 연구학회는 4월 5일부터 10일까지 6일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되며 국내 기업들도 대거 참가해 연구 현황 및 성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미국 암 연구학회(AACR) 참여 국내 제약사
한미약품과 유한양행 등을 비롯해 지놈앤컴퍼니,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주요 제약사와 바이오테크가 대거 참가합니다. 국내 제약사별 공개할 K항암제의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한미약품
- 표적항암제 53-mRNA 항암 신약 (p53 변이를 표적하는 치료제)
- 면역항암제 HM16390 (차세대 인터루킨-2(IL-2))
- 이중 저해제 HM97662 (차세대 EZH1·2)
한미약품은 항암 신약 등을 포함한 연구과제 10건을 공개할 예정으로 p53 변이에 대해 치료제 개발이 시도된 적이 있었지만 상용화된 약물이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 성과에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2. 유한양행
- 면역항암제 YH32367 (임상 1상 진행 중)
- 이중 표적 면역항암제 YH41723 (이뮨온시아와 공동 개발)
유한양행은 다수 암세포 특정 인자(HER2)에서 발현하는 고형암에서 기존 항암 치료에서 내성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중인 면역항암제 YH32367에 대한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뮨온시아와 공동 개발 중인 YH41723는 PD-L1, TIGIT 이중 표적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 현황을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3. 지놈앤컴퍼니
- 표적 면역항암제 GENA-104 (전임상 결과)
- LCB36 (전임상 결과 최초 공개)
지놈앤컴퍼니의 면역항암제 GENA-104는 신규 타깃 CNTN4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로 이번 미국 암 연구학회에서 전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4. 에이비엘바이오
이중 항체 면역항암제
- ABL112와 ABL407
에이비엘바이오의 ABL112는 TIGIT를, ABL407은 면역 억제 종양과 관련하여 골수성 세포에 과발현하는 LILRB4를 표적하는 항암제입니다. 이번 AACR에서 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5.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CD20×CD22 표적 이중 항체 ADC인 LCB36의 전임상 결과를 최초로 공개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적이 없는 ‘퍼스트 인 클래스’입니다. 총 6개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전임상 결과 공개를 앞두고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6. 기타
HK이노엔, GC셀, 박셀바이오, 티움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미국 암 연구학회(AACR) 2024에서 개발중인 항암제 후보물질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미국 암 연구학회에서 선보일 국내 제약사별 K항암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학회를 통해 연구 진행 결과 및 현황에 대해 공개된다고 하니 학회 결과를 통해 관심있는 제약사의 연구 성과를 간접적으로 접해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 세대별 항암제 종류 및 장단점 정리
- 일본 전염병 STSS 관련주, TOP7 총정리
- 보건복지부 인증 의료기관, 분야별 List 109곳(2024-2026)
- 이대 서울병원 수면 위내시경 후기
- 척추관 협착증, 하면 안될 나쁜 습관은?(+원인, 치료방법, 수술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