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세뱃돈 얼마를 줘야 적절할까? 1-3-5-10만원 새뱃돈 원칙 정하기

새해를 맞이하고 보내는 첫 명절은 설날입니다. 세배를 하면 받는 세뱃돈은 과연 얼마를 줘야 적절할까요? 이번 포스팅은 세뱃돈의 의미와 나이대별 줘야 할 세뱃돈 1-3-5-10만 원 원칙에 관하여 소개하려고 합니다.



1. 세뱃돈이란

설날이 되면 차례를 마친 뒤 웃어른께 새해를 맞이하고 문안인사로 세배를 올립니다. 웃어른은 아랫사람에게 덕담을 하고 복을 기원하며 주는 돈이 세뱃돈입니다. 세뱃돈은 깨끗하거나 신권을 주는데 부정타지 말고 좋은 기운을 주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설 연휴 전에는 은행에서 신권을 교환하는 사람들이 평소보다 많습니다.



2. 세뱃돈의 유래

  • 중국에서 넘어왔다는 설
  • 조선 시대 문헌 – 세배를 하면 음식이나 과일을 주었다고 기록

처음에는 음식이나 과일 등을 주었는데 현대에 와서는 돈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조부모 외에도 친척, 이웃 어른께 방문하여 세배를 올렸는데 빈손으로 보내면 안 된다고 쥐여준 돈이 세뱃돈의 기원입니다. 이러한 풍습이 최근에는 세배를 하면 당연하게 세뱃돈을 받는다는 인식으로 변하였습니다.



3. 세뱃돈 얼마를 줘야 할까

90년대만 해도 초등학생이면 천 원, 오천 원, 많이 주시면 인당 만 원까지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얼마를 주고받아야 적당할까요? 1-3-5만 원으로 줘야 한다 혹은 3-5-10만 원을 줘야 한다며 매년 설날이 오면 인터넷상에서 갑론을박하는 주제입니다. 물론 이러한 돈의 액수의 중요한 기준은 주는 사람의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가가 오른 요즘 세뱃돈을 천 원단위로 주기에는 돈의 가치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현실적인 물가와 최근 설문조사의 결과를 반영한다면 금액의 범위는 대략 이렇습니다.



*나이대별 세뱃돈 적정 금액

  • 미취학 아동 및 초등학교 저학년 : 1만 원
  • 초등학교 고학년 : 3만 원
  • 중학생 : 5만 원
  • 고등학생 : 5만 원 ~ 10만 원
  • 대학생 이상 : 10만 원



*세뱃돈 – 주는 사람 마음

사실 적정 금액은 주는 사람 마음입니다. 받는 사람도 기분이 좋아야 하고 주는 사람도 체면 치레를 해야 합니다.

초등학생 세뱃돈 얼마줘야하나요? 명절 조카들에게 줘야할 세뱃돈 금액에 대한 고민 글
매년 계속되는 세뱃돈 금액에 관한 고민 글


주는 사람은 매년 얼마를 줘야 할지 고민하는 것입니다. 출산율은 계속 하락하고 있고 예전만큼 가족들이 북적북적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조카가 몇 명 안되니까 더 줄 수도 있고 본인이 생각하는 돈의 가치, 경제 사정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4. 3만 원권 주장

5만 원짜리 신권이 발행된 이후 세뱃돈의 평균 금액이 올라갔다고 합니다. 만 원 주기는 적은 것 같고, 만 원짜리 여러 장을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면 5만 원을 주게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예전보다 세뱃돈으로 나가는 지출이 많아졌고 경제 불황으로 세뱃돈에 대한 부담은 커졌습니다. 그리하여 3만 원권도 발행해야 한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5. 세뱃돈 몇 살까지 줘야 할까

세뱃돈을 받을 수 있는 나이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집안 분위기나 주머니 사정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아기도 받는가 하면 독립을 못한 대학생이나 취업을 했음에도 받을 수 있습니다. 결혼을 해도 촌수로 막내이면 받기도 하고 집안의 문화에 따라 다양합니다. 세뱃돈을 받는 이상적인 시기는 학생 신분 일 때까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6. 세뱃돈을 받는 기쁨

어릴 적 명절이 되면 세뱃돈을 받는 즐거움이 있었을 겁니다. 얼마까지 받았는지 세기도 하고 자랑하며 경쟁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두툼해진 지갑이 마냥 좋기만 했던 유년 시절이었습니다. 어른이 되어서 주는 입장이 되면 마음이 달라집니다. 입장이 바뀌어보니 좋은 마음으로 주셨겠지만 주어야 할 친인척이 많으면 부담일 수도 있었겠다 느끼게 됩니다.



7. 세뱃돈 진정한 의미

세뱃돈을 액수로 가치를 매긴다면 물질 만능의 폐해일 수 있습니다. 세뱃돈을 받는 아이에게 무조건 부모에게 맡기라는 가정이 많습니다. 물론 아이가 너무 어려서 돈을 다 써버릴까 봐 걱정되는 마음일 것입니다. 그러나 세뱃돈의 주인은 받는 사람입니다. 부모는 자식에게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한다면 경제 교육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무조건 저축만 강요하지 말고, 잘 쓰고 잘 저축할 수 있도록 알려주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웃어른께 감사함을 느낄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잘 일러주는 것이 참교육일 것입니다.




지금까지 설날 세뱃돈을 얼마 줘야 할지에 대한 주제로 나이대별 1-3-5-10만 원 세뱃돈 원칙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물론 집안 분위기와 개인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주고받는 세뱃돈의 금액은 달라집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명절에 가족이 다 함께 보여 덕담을 주고받고 정을 느끼는 것이 참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접한 많은 분들이 올해 무탈하고 행복한 해를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도움이 되는 글>

세뱃돈 꿈, 좋은 징조일까? 세뱃돈 꿈해몽 7가지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