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는 의료 및 의약 기술의 발달로 세대별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1세대 항암제인 세포독성 항암제, 2세대 항암제인 표적항암제,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까지 개발되었으며 암 환자에게 투약되고 있습니다. 암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100% 완벽하지 않은 만큼 항암제별 장단점도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항암제가 쓰이는 이유
항암제는 암에 걸리면 치료하는 데 쓰이는 방법으로 암의 종류나 진행 정도에 따라 쓰이는 목적이 다릅니다. 암의 완치, 완치가 불가능한 경우 암세포가 더 퍼지지 않도록 조절, 암이 상당 부분 진행된 경우 증상 완화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1. 1세대 세포독성 항암제
세포독성 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여 없애는 방식으로 항암 효과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세포독성 항암제로는 알킬화 약물, 항대사물질, 천연물질 등으로 분류됩니다.
세포독성 함암제 분류 | 종류 | 항암제 명칭 |
알킬화 약물(Alkylating agents) | 백금 화합물 | 카보플라틴(Carboplatin), 시스플라틴(Cis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
니트로겐 머스타드(Nitrogen mustard)계 |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nitrogen mustard), 멜팔란(Melphalan), 이포스파마이드(Ifosfamid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 |
알킬 설포네이트(Alkyl Sulfonate)계 | 부설판(Busulfan) | |
항대사물질(Antimetabolites) | 피리미딘(Pyrimidine)유도체 | 카페시타빈(Capecitabine),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5-FU), 젬시타빈(Gemcitabine), 시타라빈(Cytarabine), |
엽산유도체 |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 |
천연물질 |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 |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bine) |
탁센(Taxane) | 도세탁셀(Docetaxel), 파클리탁셀(Paclitaxel) |
세포독성 항암제 치료의 경우 암세포 외에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여 탈모, 구내염, 신장과 방광 부작용,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부작용이 있습니다. 항암제 치료를 지속하다 보면 정상 세포의 회복이 늦어질 수 있으나 치료가 종결되는 경우 대부분의 정상 세포들이 회복되면서 부작용 또한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신경 독성의 경우 항암 치료를 중단한 이후에도 부작용이 영구적으로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2. 2세대 표적항암제
표적항암제는 1세대 세포독성 항암제의 정상 세포에 대한 악영향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표적 항암 치료는 암세포에서 발현하는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 등을 표적으로 하여 약물을 투약함으로써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 방식입니다. 표적 항암 치료는 크게 세포 표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항체와 키나아제를 표적으로 하는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로 분류됩니다.
표적 항암제 분류 | 항암제 명칭 |
단클론항체 | 리툭시맙(rituximab), 허셉틴(trastuzumab), 얼비툭스(cetuxi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
키나아제 억제제 | 글리벡(imatinib), 이레사(gefitinb), 렉라자(lazertinib), 타그리소(osimertinib), |
카나아제 억제제는 경구 복용이 가능하나 당클론항체는 항체가 단백질이기 때문에 위산이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될 수 있으므로 주사를 통해 투여합니다.
암의 종류에 따라 투약되는 항암제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암 종류별 항암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리툭시맙(rituximab) : B세포림프종 사용
- 얼비툭스, 베바시주맙 : 결장암 사용
- 허셉틴(trastuzumab) : 유방암이나 위암 사용
- 글리벡(imatinib) : 만성 골수성백혈병 사용
- 이레사(gefitinb), 렉라자(lazertinib), 타그리소(osimertinib) : 비소세포폐암 사용
표적 항암 치료는 1세대 세포독성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다소 적으며 암 초기에 효과적이라는 점이 장점입니다. 단점으로는 일정 기간 이상 사용 시 약물 내성이 발생하며 여러 부작용이나 독성으로 장기적인 투약에 한계가 있습니다. 표적 항암 치료는 특정 표적 인자만 공격하므로 동일한 암이라도 특정 표적 인자가 나타나는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표적 치료제 종류에 따라서 보험 적용이 안 될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 상당한 비용이 초래됩니다.
3. 3세대 면역항암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면역항암제는 기존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 방식에서 더 나아가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이용하며 살아있는 세포 자체에 치료제로 이용하는 데 있습니다. 종양 세포가 커질수록 인체 내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들이 암세포를 인지하지 못하는 항원이 발현됩니다. 3세대 면역항암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켜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대표적인 3세대 면역 항암 치료에는 면역 관문 억제 치료(immune checkpoint blockade therapy), 적응 세포치료(adoptive cell therapy), 암 백신 치료 (cancer vaccine therapy) 등이 있습니다. 이중 면역 관문 억제 치료의 작용기전에 따른 항암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작용 기전 (면역 관문 억제제) | 항암제 명칭 |
PD-1(Programmed Death-1) 억제제 | 펨브로리주맙(pembrolizumab), 니볼루맙(nivolumab) |
PD-L1(Programmed Death-Ligand 1) 억제제 |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더발루맙(durvalumab), 아벨루맙(avelumab) |
CTLA-4 | 이필리무맙(Ipilimumab) |
3세대 면역항암제의 장점은 기존 약물로는 한계가 있었던 전이암에도 효과적이며 돌연변이 유무와 관계없이 다양한 암종에 적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암세포에 대항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기존 항암제와 비교했을 때 약 값이 비싸며 면역체계 활성화에 따른 자가면역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세대별 항암제 요약 정리
위에서 정리하였던 세대별 항암제 특징 및 장단점,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1세대) 표적독성 항암제 | (2세대) 표적항암제 | (3세대) 면역항암제 |
특징 |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제거하는 방식의 항암 효과 | 암세포에서 발현하는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 등을 표적으로 하여 약물을 투약 | 면역 체계를 이용하며 살아있는 세포 자체에 치료제로 이용 |
장점 | 암종류 구분없이 투약가능편리함 | 기존 치료보다 부작용이 다소 적음. 암 초기에 효과적. | 전이암에도 효과적. 돌연변이 유무와 관계없이 다양한 암종에 적용이 가능 |
단점 | 정상 세포도 공격 가능. 반복 투여시 내성 생김 | 특정 표적 인자가 나타나는 환자에게만 효과. 반복 투여시 내성 생김. 보험적용이 안 될 경우 상당한 비용 발생 | 약 값이 비쌈. 자가면역질환 등의 부작용 |
부작용 | 탈모, 구내염, 신장과 방광 부작용, 설사, 구토 등 | 피로감, 탈모, 구토 등 | 설사, 발진, 폐렴,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
지금까지 세대별 항암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암 환자에게 효과적인 항암제를 찾고 적용하여 모두가 암으로부터 완치되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
- 보건복지부 인증 의료기관, 분야별 List 109곳(2024-2026)
- 한화생명 실비, 모바일 환급 방법 및 준비서류
- 척추관 협착증, 하면 안될 나쁜 습관은?(+원인, 치료방법, 수술비용)
- 발에 굳은살 생기면 무지외반증일까? 증상 및 원인, 치료 방법
- 새치(흰머리) 최대한 느리게 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