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비만 원인을 알아야 예방이나 관리하는 데 목표 설정이 수월할 것입니다. 소아비만 탈출을 위한 실천 가이드 7가지를 실천해 보세요. 소아비만에 해당된다면 조기에 탈출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1. 소아비만 무엇일까
소아비만이라고 하면 통통한 어린이를 연상하곤 합니다.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게 아니라 몸 안의 체지방이 과도한 양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비만 진단을 위해 소아 연령은 성별과 나이대별 성장도표를 이용해 판단합니다. 이유는 성장을 마친 성인과 같이 일괄적인 기준으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2. 소아 나이 기준
위키백과에 따르면 만 0세 ~ 만 11세까지 어린이를 소아라고 합니다.
3. 소아비만 해당되는지 알아보기
일반적으로 성장도표를 이용해 체질량지수를 계산하여 진단합니다.
체질량지수 = 체중(kg) / 키(m) ²
예를 들어, 몸무게 25kg에 키 125cm(=1.25 m)의 체질량지수는 25kg / (1.25 m) ² = 16입니다.
- 비만 위험군 : 체질량지수 85백분위수 이상
- 비만 : 체질량지수 95백분위수 이상
4. 소아비만 원인
섭취한 칼로리양에 비해 소비한 양이 적은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그러나 과다한 칼로리와 적은 소모량 외에도 복합적인 요인이 비만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1) 유전적인 요인
- 비만이 되기 쉬운 유전적 소인 갖고 있는 경우
- 소아의 비만은 부모의 비만과 높은 관련성을 보입니다.
2) 환경적인 요인
- 티비나 스마트 기기, 인터넷 등으로 인한 신체활동 감소
- 고지방, 고칼로리, 낮은 섬유식, 잦은 외식 등의 칼로리 섭취에 의한 영양 불균형
3) 심리적인 요인
우울이나 불안함
5. 소아비만이 안 좋은 이유
성인이 되어도 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으며 신체적인 질병 외에 심리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아 시기에 비만을 겪게 되면 또래로부터 놀림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심리적인 요인으로 자기 존중감이 결여될 수 있습니다.
1) 키 성장 저해
성장호르몬은 키 성장에 도움을 주며 몸의 회복과 유지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성장호르몬은 체지방을 분해하는 역할도 기여합니다. 그러나 체지방의 증가로 지방 분해하는데 역할이 많아지면 키 성장을 더디게 합니다.
2) 성조숙증 초래
- 체지방에서 나오는 렙틴호르몬 분비가 많아지며,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2차 성징이 빨리 나타납니다.
- 사춘기가 빨리 시작
- 초경 시기가 빨라지는 문제
3) 사춘기 시기 우울감
- 사춘기가 오면 외모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 등의 정서적 불안 야기
- 부정적인 성격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6. 소아비만 탈출하기
소아비만 탈출의 목표는 정상적인 성장을 유지하면서 같은 연령대의 적정한 체중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식습관 관리, 꾸준한 신체 활동이 필수적입니다.
*실천가이드 7가지
- 매일 아침은 든든하게 식사하기
- 섬유질이 풍부한 야채와 과일 섭취
- 멀티미디어 및 전자 기기 시청은 시간을 정해서 초과하지 않도록 함 (2시간 이내)
- 체지방 감량을 위해 하루에 한 시간 정도 운동하기 – 아이가 좋아하는 운동으로 해야 꾸준히 지속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추천 : 걷기, 수영, 자전거, 등산)
- 탄산음료는 자제
- 당분이 많거나 기름진 음식 자제
- 배달음식이나 외식은 최대한 줄이기
성인은 비만 탈출을 위해 목표 설정을 하고 이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의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아의 경우 아직 그러한 의지가 부족하므로 가족 구성원이 함께 올바른 식단과 운동을 실천한다면 더 효과적입니다.
소아비만은 장기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질환이므로 아이에게 칭찬과 보상의 방법이 좋겠습니다. 동기부여를 주어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통해 조기에 소아비만을 탈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