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을 처음 하게 된다면 자동차 보험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부분이 많으실 거예요. 혹은 자동차 보험만 가입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 텐데요. 교통사고 발생시 어떤 보험에 가입했는지 어떤 담보를 보장받고 있는지에 따라 중요한 상황이 될 수 있어요. 운전자 보험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운전하면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운전자 보험은 운전 사고 발생 시 상대를 다치게 했다면 반드시 가입되어 있어야 유리합니다. 운전하면서 사고 없이 운전할 자신 있으신가요. 속도위반, 신호 위반 등 한 번도 걸리지 않을 자신 있으신가요. 다음은 2023년도 일 년 동안 발생한 교통사고 통계입니다.
2023년 교통사고는 196,836건 발생했으며, 사망자는 2,735명 부상자는 281,803명입니다. 매 달 1만 건 이상의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다치거나 사망하는 경우는 매달 2만 명 정도 입니다.
물론 무사고 30년 운전 경력이신 분들도 주변에 종종 계십니다. 그러나 내가 아무리 조심해도 상대방이 잘못할 수 있는 것이 교통사고이며 사고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습니다.
자동차 보험 vs 운전자 보험 무엇이 다를까
보험을 든다는 건 가입자에게 부담이 됩니다. 지출이 발생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꼭 들어야 하는 보험도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 운전자 보험 들어보셨나요? 두 보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자동차 보험 | 운전자 보험 |
가입 | 의무 | 선택 |
목적 | 민사적 책임 대비 | 형사적 책임 대비 |
보장범위 | 운전 중 모든 사고 | 중상해, 사망 12대 중과실 사고 |
담보 | 대인배상 대물배상 자기차량손해 자기신체손해 | 형사 합의금 운전자 벌금 변호사 선임비 |
보험료 금액 | 약 50~200만 원 | 1~2만 원 |
보험료 납부 주기 | 1년 1회 | 월 1회 |
운전을 하게 된다면 자동차 보험은 의무적으로 무조건 가입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면 단순히 자동차 구입 비용만 지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보험료, 유지비 등 돈 나갈 때가 많다고 하죠. 만약 자동차 보험을 가입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최대 9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자동차 보험은 사고 시 상대방의 손해를 보상해 주기 위한 보험입니다. 자동차 보험 안에서도 필수로 들어야 하는 책임보험(대인배상1, 대물배상)이 있고 선택적 가입인 종합 보험(대인배상2, 자기차량손해,자 기신체손해 등)으로 구분됩니다.
운전자 보험은 말 그대로 운전자 자신을 보호해 주는 보험이에요. 그러나 운전자 보험은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가입하지 않아도 돼요. 대신 운전자 보험은 자동차 보험에서 보장해 주지 않는 형사적 책임도 보장해 줘요. 형사적 책임이란 교통사고 발생 시, 12대 중과실 사고에 해당된다면 법적 처벌을 받게 되는 것이죠.
1. 12대 중과실 사고
신호위반 | 속도위반 | 중앙선 침범 | 앞지르기 위반 | 보도 침범 위반 | 보행자 보호의 위반 |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운전 의무 위반 | 음주 운전 | 무면허 운전 | 철길 건널목 통과방법 위반 | 승객 추락 방지 의무 위반 | 화물 고정조치 위반 |
본인의 과실로 상대방을 다치게 했을 경우 위의 중과실 사고에 해당된다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벌금도 부과돼요. 이를 대비해 운전자 보험에서는 벌금, 합의금, 변호사 선임비 등을 보장해 줘요. 단, 음주 운전이나 무면허 운전, 뺑소니 사고일 경우 보상해 주지 않습니다.
2. 운전자 보험 필수 담보
운전자 보험은 형사 합의금, 운전자 벌금, 변호사 선임비를 필수 담보로 하시고, 그 외에는 추가로 보장 범위를 넓히실 수 있습니다.
- 형사 합의금 : 합의를 위한 지원비, 피해자가 6주 이상 다치거나 사망한 경우
- 운전자 벌금 : 운전자 벌금 지원, 교통사고로 타인을 다치게 한 경우
- 변호사 선임비 : 변호사 선임을 위한 지원, 교통사고로 인해 구속, 검사로부터 공소 제기된 경우
3. 자동차 보험 특약 vs 운전자 보험 가입
그렇다면 운전자 본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보험에 가입하는 방법만 있을까요? 운전자 보험을 가입해도 되지만 자동차 보험의 종합 보험 즉, 특약을 추가하는 방법도 있어요. 운전자 보험의 경우 월 1~2만 원 대로 1년이면 10~20만 원대의 보험료를 지불해야 돼서 부담이 될 수도 있어요. 이보다 보험료를 최소화하고 싶다면 운전자 보험과 보장 범위는 다르지만 자동차 보험 특약으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만약 기존 자동차 보험을 가지고 계시다면 좀 더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지금까지 자동차 보험, 운전자 보험에 대해 소개해 보았습니다. 위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
- 2024년부터 의무화되는 자동차 법규 8가지 체크!
- 착한 운전 마일리지 운전자라면 무조건 신청!(장롱면허도 가능)
- 고속도로 통행료 하이패스 50% 할인받는 방법
- 고속도로 미납 통행료 조회 및 납부 방법
- 20대 자동차 보험, 부모님 명의 가입방법 및 장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