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출시한 청년 도약 계좌는 정부의 정책 상품 중 하나로 청년층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022년에 출시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청년층 또한 새롭게 출시된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 궁금해 하셨을텐데요. 누구나 조금이라도 이득인 상품에 가입하여 혜택을 받고 싶으실 겁니다. 본문의 내용을 통해 두 상품을 비교, 분석하여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신 분이라면 갈아타기가 이득인지도 잘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이란?
2022년 문재인 정부에서 청년층을 위해 출시한 정책적 고금리 금융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상품 내용
- 가입연령 조건(공통): 만 19세~34세 이하 청년층 대상 (병역 이행 시,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
- 소득 조건: 개인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 납입 금액 및 만기 : 월 최대 50만 원 납입 가능(2년 만기)
- 정부 지원금 : 2%(1년 차), 4%(2년 차)
- 혜택(공통) : 비과세
- 총평: 기본금리 연 5%로 2년 동안 최대 월 50만 원씩 납입하면 만기 도래 시 약 1,300만 원을 수령하도록 설계
청년 도약 계좌란?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청년층의 자산 증식을 위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시행한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청년 도약 계좌 상품 내용
- 가입연령 조건(공통) : 만 19세~만 34세 이하 청년층을 대상 (병역 이행 시,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
- 소득 조건: 개인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 충족
- 납입금액 및 만기 : 월 40만 원~70만 원까지 납입 가능(5년 만기)
- 정부 지원금 : 소득 구간에 따라 3% ~ 6%
- 혜택(공통) : 비과세
- 총평 : 기본금리 연 4.5%로 5년 동안 최대 월 70만 원씩 납입하면, 만기 도래 시 약 5천만 원을 수령하도록 설계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도약 계좌에 관한 Q&A
Q)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도약 계좌는 동시에 가입이 가능할까요?
A) 불가합니다. 단,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도래하거나 중도 해지했을 경우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Q)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가능할까요?
A) 가능합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월 70만 원의 한도가 있으나,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환급 금에 한해서는 일시 납입이 허용됩니다. 따라서 청년 도약 계좌에 청년희망적금의 만기환급금을 그대로 납입하면 18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이 납입하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이후 19개월부터는 매월 70만 원씩 42개월간 추가 납입하면 됩니다.
Q) 청년 도약 계좌로 갈아타기(환승) 이득 일까요?
A) 청년 도약 계좌의 장,단점 살펴보기
장점
-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개인소득 기준을 완화하여 가입 대상의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희망적금보다 월 최대 납입액이 70만 원으로 더 많아져 수령액이 높아집니다. 또한 소득 수준에 따라 더 적게 넣고 최대의 혜택을 누릴 수도 있습니다.
단점
-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가구 소득도 심사하므로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상일 경우 지원금의 비율이 줄어들어 혜택도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 5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큰돈이 묶인다는 부담 요소로 중도 해지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금융권의 알려진 바에 따르면 3년 동안 적금을 유지하는 비율은 약 30%라고 합니다. 중도에 해지할 경우, 감면받은 세금 혜택이 추징될 수 있습니다.
- 3년이 지나면 변동 금리가 적용되므로, 요즘과 같은 고금리 시기에는 일반 시중 금리와 차별성이 없어 보입니다.
본인의 수입 및 지출을 잘 파악하여 장기간 완납할 수 있는지, 납입 금액이 적더라도 해지 없이 완납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선택할 것인지 판단하여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합니다. 정부의 청년을 위한 금융 정책을 잘 이용하면 인풋 대비 높은 아웃풋을 보실 수 있으니, 청년층에 해당하신다면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도약 계좌 상품을 비교하시고 갈아타기가 이득인지 꼼꼼히 확인하시고 개인의 재정 상황에 맞게 재테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