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소득공제받는 방법

카톡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등록을 하셨나요? 안 하셨다면 지금부터 등록을 해두셔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등록 절차는 단 1분 정도로 매우 간단하니 조금만 시간을 내보셔서 추후 연말정산에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카톡 선물하기 소득공제

1년 동안 총 급여액의 25%가 넘는 돈을 쓰셨다면 현금영수증 공제는 초과 금액의 3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공제율이 15%인 것에 비해 엄청 높죠. 카톡 선물하기에서 카카오톡 머니 혹은 계좌이체로 결제할 경우 현금영수증에 해당됩니다.

그동안 카톡 선물하기에서 지출해오던 금액이 적지 않기 때문에 현금 영수증 등록을 해주어 소득공제를 받아야 합니다. 현재 소득이 없거나 부양을 받고 있다면 부양자 번호로 등록해 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등록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톡 선물하기 소득공제받는 방법

휴대폰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니 휴대폰 카카오톡에 접속해 주세요.

1. 카카오톡 톱니바퀴 설정 아이콘(우측 상단)

2. 전체 설정 – 개인/보안 터치

3. 현금영수증 발행정보 관리 – 등록하기

4. 개인 소득공제 – 핸드폰 번호 입력

5. 카톡 선물하기 소득공제용 현금 영수증 발행 완료

매우 간단하죠? 여기서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등록 시, 주의할 점

카톡 현금영수증 관리 절차에 대한 모바일 화면입니다.


현금 영수증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현금영수증 정보를 등록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자진발급됩니다.’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이 문구는 아쉽게도 지금까지 현금영수증 발급이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여기서 자진 발급이라는 문구에 등록을 안 해도 된다고 오해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자진 발급해 준다는 의미가 아니므로 휴대폰 입력까지 등록 절차를 해주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카톡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등록 절차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매우 간단하지만 그동안 등록을 안 하셨다면 아쉬움이 있으실 겁니다. 지금이라도 등록을 해두셨으니 앞으로의 지출은 소득공제로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