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자동차 보험, 부모님 명의 가입방법 및 장단점

20대에 자동차를 구입하거나 이용한다면 자동차 보험 요금이 꽤 많이 부과가 되는데요. 20대 초반의 경우 특히 보험료 측정이 높게 나오는 연령대입니다. 따라서 부모님 명의로 가입하여 보험료를 절약하는 방법이 대안이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20대 자동차 보험을 부모님 명의로 가입하는 방법 및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대 자동차 보험

20대의 자동차 보험료가 일반적으로 가장 비싸게 측정되는 나이대인데요. 첫 운전을 경험하는 연령대이기도 하지만 연령 특성상 운전 스타일도 진취적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고 발생률이 높다고 보험사에서 판단하기 때문이죠. 만 26세 미만의 운전자인 경우 60~100%에 가까운 할증이 붙기 때문인데요. 특히 갓 스무 살이 되고 바로 운전을 시작한다면 약 300만 원 전후의 가장 비싼 보험료가 측정될 수 있습니다.

20대 자동차 보험 요금

20대

자동차 보험료 (평균)

20살

약 270만 원

21살

약 250만 원

22살

약 230만 원

23살

약 220만 원

24살

약 210만 원

25살

약 150만 원

20대 초반에는 2백만 원 중후반의 보험료가 측정되며 나이가 들수록 점점 낮아져 25살이 되면 150만 원으로 보험료가 40% 가까이 떨어집니다. 20대 초반에는 경제적인 부분에서 보험료 부담이 크기 때문에 보험료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부모님 찬스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 명의 가입방법

부모님 명의로 가입하는 경우 자동차를 어떤 용도로 이용하는지에 따라 가입 방법이 구분되는데요. 부모님 차량을 운전하거나 새 차를 구입, 부모님 차량을 물려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입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모님 차량을 주기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부모님이 이용하는 차에 본인도 같이 운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부모님의 자동차 보험에 본인을 추가 운전자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부모님 보험 범위가 확장이 되겠죠. 자동차 보험을 계약할 경우 운전자를 지정할 수 있는데요. 본인을 추가 등록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부모님의 기존 자동차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겠지만 부담스러운 상승률은 아닙니다.

가입방법
  • 보험사 문의 > 필요 제출서류 준비 >보험료 확인 및 결제

부모님과 의논 후 해당 보험사에 전화 혹은 온라인으로 운전자 추가에 관해 문의합니다. 문의 시, 지정 1인 특약, 가족 한정, 자동차 보험 경력 인정자 등에 관한 안내를 받게 됩니다. 보험사마다 절차나 필요 제출 서류가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분증, 운전면허증 등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추가 운전자 등록 후 변경 보험료를 확인한 후 결제를 해야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보험료는 기존 금액에서 상승할 것입니다.

부모님 차량으로 운전자 추가를 등록한 경우, 사고 시 부모님 보험료에 영향을 미치므로 당연하지만 주의 깊게 안전 운전을 해야 합니다.



2. 새 차 구입 혹은 부모님 차량 물려받은 경우

새 차를 구입하는 시점에서 부모님 명의로 보험을 계약하는 것이며 부모님 차량을 물려 받은 경우도 동일합니다. 부모님 차량의 운전자 범위 구성이 이미 꽉 차있거나 본인이 운전할 차량이 부모님 차량과 다를 경우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가입방법
  • 차량 명의 및 지분 결정 > 자동차 보험 가입 (부모님 명의) > 보험 가입 후, 가입경력 인정자로 지정

부모님 명의로 차량을 구매하거나 지분을 설정하는 이유는 보험료가 저렴해지기 때문입니다. 부모님 나이와 운전 경력, 보험료 혜택을 적용할 수 있으며 가족 한정 및 지정 1인 특약으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또한 가입 후, 가입경력 인정자로 본인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는 추후 본인 명의로 보험을 갈아탈 때 운전 경력이 인정되어 보험료 금액을 낮출 수 있습니다.



부모님 명의 가입 시, 장점

1. 보험료 절약

부모님의 경력과 연령대 등을 고려할 때 부모님 명의로 가입하면 보험료가 저렴하게 책정됩니다. 특히 20대의 경우 보험료가 할증되어 상당히 높게 책정되기 때문에 가격 방어에 효과적입니다.

2. 경력 인정

부모님 명의일지라도 본인의 보험 가입 경력에 인정되기 때문에 추후 본인 명의로 갈아탈 때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물론 보험사 정책이 상이하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3. 할증 회피

20대 초반의 경우 보험료 할증이 상당히 많이 붙기 때문에 부모님 명의를 이용한다면 큰 폭의 보험료 절약 혜택을 받게 됩니다. 이는 자동차 초기 구매 시,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좋은 선택지일 수 있습니다.



부모님 명의 가입 시, 단점

1. 보험료 상승

부모님 명의의 기존 보험료 상승은 불가피해집니다. 이전 보험료와 비교한다면 평균 70만 원 이상 요금이 추가됩니다. 그러나 해당 자녀가 단독으로 자동차 보험을 처음 가입한다면 200만 원 이상의 보험료가 책정되는 것과 비교해 보세요. 상당한 비용 절감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명의 부담

부모님 명의로 된 차량이 여러 대인 경우 보험료나 세금, 차량 관리 비용 등에 있어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운전 사고 발생 시, 보험료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부모님 명의이기 때문에 부모님께 죄송할 마음이 생기게 됩니다.

3. 추후 비용

추후 차량 명의를 바꾸게 된다면 이와 관련하여 비용이 발생합니다. 명의 변경 수수료 및 새 보험사 가입 시 책정되는 보험료 등을 고려해야 하며 이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인 명의로 보험을 갈아타는 시기 및 방법

부모님 명의로 자동차 보험을 가입하고 이용한 후, 어느 정도 운전 경력이 쌓이면 본인 명의로 보험을 갈아타는 계획을 세우는 시기가 오는데요. 그렇다면 언제가 가장 적절한 시기가 되며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요?

1. 갈아타기 적절한 시기

첫 자동차 보험료의 평균 비용은 대략 120만 원이라고 하는데요. 만약 부모님 명의로 무사고 및 몇 년 간의 운전 경력을 쌓았다면 26세가 되었을 때 보험료 책정 금액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이 시기를 목표로 미리 보험료를 계산하여 비교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갈아타는 방법

1) 보험료 비교

우선 다양한 자동차 보험 상품을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러 보험사의 견적을 받아본 후 본인의 운전 빈도, 차량 상태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보험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2) 차량 명의 이전

먼저 차량 명의를 변경한 후, 본인 명의로 보험을 가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명의 이전에는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발생되는 비용을 미리 준비하도록 합니다.

3) 새 보험 가입

새 차를 구입 혹은 명의 이전을 하는 경우 본인의 명의로 보험을 새로 가입해야 합니다. 이때 보험 가입은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으로 하시면 보험료를 20%가량 절약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부터는 본인의 보험 가입 이력이 쌓이기 시작하므로 안전 운전으로 무사고를 유지하는 것이 보험료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3. 주의할 점

자동차 보험을 본인 명의로 이전할 때 새로운 보험에 가입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면 추후 불필요한 비용이 들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20대 자동차 보험 부모님 명의로 가입하는 방법 및 장점과 단점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부모님 명의로 운전 경력을 쌓으면서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으신 후 본인 명의로 이전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으니 이용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