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출퇴근도 쉽지 않은데 교통비는 계속 인상되어서 부담스러운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다행히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교통 카드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는 국토 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K 패스(K-pass)가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K 패스
K 패스는 국토 교통부에서 국민들의 교통비를 줄여주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2024년 5월 출시 예정 중인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입니다. 현재 시행 중인 알뜰 교통카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K 패스가 시행되면 기존 알뜰 교통카드는 폐지될 예정입니다. 요약하면, K 패스는 알뜰 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K 패스 요약 정리
K 패스 항목 | 항목별 내용 |
도입 시기 | 2024년 5월 |
이용 지역 | 전국 |
이용 수단 | 시내 및 광역버스, 지하철, GTX-A, 신분당선 등 |
이용 혜택 | 대중교통비의 20~53%를 환급 |
환급 적용 횟수 | 월 15~60회 |
환급 방식 | 익월 이용자에게 환급 |
K 패스는 전국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속초나 고창 등 인구수 10만 명 이하의 지자체인 경우를 제외하면 전국 어디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K 패스 – 할인 혜택
이용 대상 | 환급 비율 | 환급액(1,500 원 기준) |
일반 | 20% | 300 원 |
청년 | 30% | 450 원 |
저소득 | 53% | 800 원 |
K 패스는 한 달에 15회 이상 사용해야 환급이 가능하며 최대 60회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청년은 만 기준으로 19세~34세에 해당되며 저소득층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인 경우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환급 방법은 현금이나 카드 공제, 마일리지 중 선택하여 직접 환급이 가능합니다.
K 패스 – 발급 방법
K 패스 발급 방법으로는 기존 알뜰 교통 카드와 신규 발급으로 구분되며 2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기존 알뜰 교통 카드에서 전환
현재 알뜰 교통 카드 사용자라면 2024년 5월 K 패스가 시행되면서 알뜰 교통 카드는 폐지되며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으로 K 패스로 전환됩니다.
2. 신규 발급
신규 K 패스로 발급할 경우 올해 5월부터 도입되는 시점에 신청할 수 있으며, K 패스 홈페이지(누리집)이나 모바일 앱, 11개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카드사를 선택하여 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서울시 대중교통 할인 혜택이 있는 기후 동행 카드에 관심이 있으시면 아래 포스팅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K패스로 전환 가능한 알뜰 교통카드 추천
알뜰 교통카드는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하여 걸어가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로 받게 되며, 카드사 추가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교통 카드입니다. 알뜰 교통 카드를 이용하면 최대 66,000 원까지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5월부터 K 패스로 별도 신청 없이 바로 전환이 되니, 지금부터라도 교통비를 조금이라도 절약하고 싶으시다면 알뜰 교통 카드를 신청해 보세요.
국민 알뜰 교통카드
항목 | 국민 알뜰 교통카드 |
연회비 | 국내 전용 : 8천 원 해외 겸용 : 8천 원 |
전월 실적 | 30만 원 이상 |
국민 알뜰 교통 카드는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고 KB 국민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추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입니다. 조건은 전월 실적이 30만 원 이상 사용해야 혜택을 적용받으실 수 있으며, 제공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중교통: 10% 할인
- 통신: 5% 할인
- 카페/디저트: 5% 할인
- 약국: 5% 할인
- 영화: 5% 할인
- 패스트푸드: 5% 할인
- 편의점: 5% 할인
카드사 혜택은 5~10%의 할인을 해주며 각 항목별 월 5천 원 한도 내에서 할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평소 대중교통 이용이 많고 카페나 통신, 편의점 등 폭넓은 생활 서비스 할인을 받을 수 있어 학생이나 자취생분들에게 추천드리는 알뜰 교통카드입니다. 만약, 경기도에 거주중이라면 아래 포스팅 링크로 The 경기 패스로 교통비 혜택을 받아보세요.
국민 알뜰 교통카드 사용 시, 주의할 점
- 대중교통 이용에서 택시 및 시외, 고속, 공항버스는 할인이 제외됩니다.
- 국민 알뜰 교통카드로 청구할인을 받은 이용 금액은 전월 실적에서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K 패스 할인 혜택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최근 물가가 많이 올라서 지출되는 교통비가 적지 않은데요. 평소 교통비 지출이 많으시다면 앞으로 시행된 K 패스를 이용해 보시거나 현재 시행 중인 알뜰 교통카드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